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세월 견딘 비석엔 절절한 한글 "아부지"

조상 대대로 살던 땅을 떠난다는 건 뿌리를 들추어내는 일이었다. 그들은 이역만리 땅에서도 뿌리를 채 내리지 못하고 눈을 감아야 했다.   11일 오전 10시, 하와이 열도 최남단 빅아일랜드 섬의 서쪽 홀루알로아 지역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코나 커피를 생산하는 농장이 즐비해 ‘코나 커피 벨트’로도 불리는 곳이다.   커피 농장들을 가르는 180번 도로를 지나는 중이다. 동행한 김교문 목사(전 코나한인선교교회)가 잠시 차를 세우라고 했다. 한 커피 농장 옆으로 길인지 아닌지 모를 협소한 샛길이 보인다.   저 멀리 대나무 수풀이 우거져 있다. 사람의 발길이 끊긴 지 오래된 듯한 그 길을 김 목사를 따라 150피트 정도 걸어 들어갔다. 대숲이 햇살을 가려버린 어둑한 그곳에서 이끼 가득한 묘비들이 두서없이 모습을 드러냈다.   김 목사가 나뭇가지를 들어 그중 묘비 하나를 가리키며 한자를 읽어내려갔다.   '고 조승운 묘' '조선 경북 고령군 출생'   1875년생인 조씨는 58세(1933년 4월 22일)에 사망했다. 하와이에 도착한 날은 1904년 6월 25일이다. 대한제국의 지배권을 두고 러일전쟁이 벌어졌던 시기였다. 유추하면 조씨는 난세 가운데 스물아홉 살에 고향 땅을 떠났다. 가족도 없었다. 이곳 커피 농장 어딘가에서 수십 년간 노동자로 일하다 묘비 하나만 남겼다.   김 목사는 “묘비 없는 돌무덤까지 합하면 한인 초기 이민자 20여명이 이곳에 묻혀 있다”며 “당시 유교 문화에서 조상 대대로 살던 땅을 떠난다는 건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텐데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여기에 묻힌 것”이라고 말했다.   습기 가득한 이곳엔 수십 년의 세월까지 젖어있다. 무성한 수풀은 묘소가 오랜 시간 방치돼 있었음을 방증한다.   이끼와 낙엽 사이로 묘비에 새겨진 망자들의 신상을 살펴봤다. 황해도 수안군, 부산 연제구, 경성 애오개(서울 아현동), 경남 동래군 등 곳곳에서 왔다. 대부분 20~30대 젊은 나이에 나고 자란 곳을 떠난 이들이다.   하와이역사재단(HHF)에 따르면 이곳은 1917년 홀루알로아 지역 한인협회가 한인 노동자를 매장하기 위한 묘지 터로 매입한 부지다. 여기에 묻힌 이들도 역사의 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하와이 주정부는 물론이고 한국 정부조차 이 땅을 돌보지 않고 있다.     하와이이민연구소 이덕희 소장은 “죽으면 묻힐 곳이 없던 한인 노동자들은 십시일반 돈을 모아 묫자리 명목으로 이 땅을 샀다”며 “이곳에 처음 묻힌 사람은 1922년, 55세 나이로 죽은 경북 안동 출신의 윤계상이란 인물인데 남아있는 이들이 장례를 치르고 묘비도 세워준 것”이라고 말했다.   남쪽으로 불과 0.2마일 떨어진 곳에는 ‘코나 이민 센터(Kona Imin Center)’가 있다. 1900년대 초반 이민자들의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한인들은 도착하자마자 이곳에서 신상 확인 절차를 거친 뒤 각 농장에 배치됐다. 지금은 주민 회관으로 쓰이고 있다. ‘이민(移民)’이란 한자 명칭을 아직도 영문 발음 그대로 사용 중이다.   김 목사는 “당시 1500명 정도가 이곳에 왔는데 빅아일랜드는 하와이 열도에서 가장 많은 한인 노동자가 일했던 섬”이라며 “유입 규모를 고려하면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 한인들의 무덤이 많을 것”이라고 전했다.   코나 이민 센터에서 북쪽으로 60여 마일 떨어진 카파우 지역으로 차를 몰았다. 낡은 사진 한장이 흔적으로 남아있는 곳이다. 노스 코할라 시빅센터의 벽면 앞이다. 아이들을 무릎에 앉힌 한복 입은 아낙네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흑백 사진 밑에는 이렇게 쓰여있다.   'Korean Immigration Family-1905'   한인들이 하와이 땅에 첫발을 내디딘 건 1903년 1월 13일이었다. 하와이이민연구소가 선박부에 기록된 이민자 명단을 조사한 결과, 한인 이민이 일시 중단된 1905년 11월까지 총 64회에 걸쳐 한인 이민단을 실은 배가 하와이를 오갔다. 사진 속 아낙네들은 그들 중 하나일 터다.   한인 초기 이민자들은 맨 처음 오아후 섬 호놀룰루에 도착했다. 그중 커피 농장과 계약한 이들은 또다시 배를 타고 빅아일랜드 힐로 지역의 항구로 들어왔다.   빅아일랜드 초기 이민자들의 발자취를 역으로 좇았다. 홀루알로아 지역에서 동쪽으로 80여 마일 떨어진 힐로로 향했다. 자동차로 한참을 달려 알라에 공동묘지에 이르렀다. ‘코리안 섹션(Korean Section)’ 표지판이 한인 묘역임을 알린다. 이곳엔 150여 명의 한인 초기 이민자가 묻혀있다.   50년째 힐로에서 의사로 활동 중인 박훈 박사(84·힐로한인기독교회)는 “힐로의 한인들은 1980년대까지 힘을 모아 곳곳에 묻혀있던 초기 이민자를 이곳으로 한 명씩 이장했다”며 “이제는 후손들도 대부분 본토로 떠나 없기 때문에 묘비 관리가 거의 안 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화강암으로 된 거무스름한 한 비석에 절절한 한글 단어 하나가 눈에 띈다.   '아부지'.    한인 초기 이민자 박춘하(1880~1956·인천 영종도) 씨의 묘다. 선박부 기록에 따르면 박씨는 스물다섯 살인 1905년에 힐로에 왔다.   주민 마틴 김씨는 “방치된 역사를 보존하고 기록해야 하는 건 후세의 몫”이라며 “이민자의 삶을 정리한 역사 웹사이트나 사이버 추모관이라도 생긴다면 한인 이민사의 기록이 끊기지 않고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 적립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비명(碑銘)은 거기까지만 말하고 있다. 듣고 싶어도 더는 들을 수 없다. 그들이 채 못다 한 이야기는 자취로만 남아있다.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곧 사라질 흔적들이다.   관련기사 묻힐 땅도 없던 그들, 묘비는 삶의 기록이었다 빅아일랜드=장열 기자·사진 김상진 기자 jang.yeol@koreadaily.com하와이 한인 노동자들 하와이이민연구소 이덕희 지역 한인협회

2023-12-27

묻힐 땅도 없던 그들, 묘비는 삶의 기록이었다

이민자는 홀씨가 되어 삶을 살다 갔다. 이역만리 땅의 무덤들은 홀씨와 같았던 그들이 곳곳에 흩날린 흔적이다. 포틀랜드 중국계 이민자들의 지워질 뻔한 묫자리〈본지 10월30일자 A-1·3면〉를 찾아간 데 이어 한인 초기 이민자의 묘소를 보러 하와이로 향했다. 묘비는 망자들의 마지막 기록이다. 그들의 자취는 희미해지고 있다. 이민자의 나라인 미국에서 정작 아시안 이민 역사는 방치됐다. 지난 10~17일까지 호놀룰루가 있는 오아후와 코나 커피로 유명한 빅아일랜드 등 하와이 열도 곳곳을 다녔다. 스스로 기록을 남길 수 없었던 그들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게재한다.     묘비에 새겨진 기록은 한인 초기 이민 역사를 응축하고 있다.   14일 오전 11시, 그 실마리를 잡기 위해 오아후섬 하와이주 의사당 앞으로 향했다. 와이키키에서 서쪽으로 약 3마일 떨어진 이곳은 호놀룰루의 중심이다. 의사당 왼편에는 한국전 전사자 기념비가 있다.   주의사당 직원 샘 바니는 “한국전에 참전한 하와이 출신 군인 중 407명의 전사자가 여기 검은색 대리석에 각각 새겨져 있다”며 “이중 한인 성씨는 10여 명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수많은 대리석 중 이름 하나를 가리켰다.   ‘CHAN J P KIM JR’ (찬재 박 김 주니어)   미육군성에 따르면 34보병 연대 소속의 찬재 박 김 주니어는 당시 21세 나이로 한국전에 참전했다가 포로가 된 뒤 실종(1950년 7월8일)됐다. 한국전에 참전한 미주 한인 중 첫 포로다.   하와이이민연구소 이덕희 소장은 “호놀룰루 태생의 찬재 주니어는 하와이 첫 이민선에 탔던 ‘김찬재’ 씨의 셋째 아들”이라며 “아버지의 모국인 한국에 가볼 수 있다는 어머니의 권유로 일본 주둔 미군에 지원했다가 한국전에 차출됐다”고 말했다.   아버지 김찬재씨는 일곱 살 때 하와이로 왔다. 1903년 1월 13일이었다. 인천 제물포에서 첫 이민자들을 실은 갤릭호가 호놀룰루 항 7번 선착장에 도착한 날이다. 그날 102명의 한인 중 한 명이었던 꼬마 찬재는 훗날 아들을 모국땅에서 잃을 줄 꿈에도 몰랐을 터다.   인근 오아후 묘지로 발걸음을 옮겼다. 찬재 주니어의 아버지 김찬재(1963년 사망)씨와 어머니 사라 박(1997년 사망)씨를 비롯한 900여 명의 한인 이민자가 안장돼있다.     당시 농장 노동자의 월급은 20달러 미만이었다. 그 돈으로 가족을 먹여 살렸고, 일부를 떼어 한국의 독립운동 자금까지 모은 이들이다. 말 한마디 통하지 않는 낯선 땅에서 그들은 자녀가 미국 땅에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삶을 희생했다. 오늘날 이민자의 삶과도 맥락이 닿는 부분이다.   호놀룰루총영사관 이서영 총영사는 “올해 9월 총영사관과 국가보훈부는 오아후 묘역에 한글로 ‘고맙습니다’를 새긴 기념비도 세웠다”며 “누아누메모리얼파크, 다이아몬드메모리얼파크, 하와이안메모리얼파크 묘역에도 한인 초기 이민자가 다수 안장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당시 호놀룰루에 첫발을 내디딘 한인들은 대부분 인천내리교회 소속 교인이다. 그들이 도착 후 세운 건 교회와 학교다.   주의사당 건너편 정부 건물 앞에는 표석 동판이 하나 있다. 한인기숙학교(1906년 개교)의 터였음을 알린다.     민주평통 하와이협의회 박봉룡 회장은 “당시 한인들이 무려 2000달러를 모아 미국 감리교 선교부에 한인을 위한 교육 기관을 세워 달라고 요청해 만들어진 학교”라며 “한인 노동자들은 각 농장에서 젊은 인재를 뽑은 뒤 십시일반 돈을 모아 한인기숙학교로 유학까지 보낼 정도로 미래를 내다봤었다”고 말했다.   주의사당에서 동쪽으로 2.5마일 떨어진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로 향했다. 해외 최초의 한인 이민 교회(1903년 11월10일 설립)다. 입구에는 갤릭호에 탔던 첫 한인 이민자들의 이름을 새겨놓은 비석이 묵직하게 자리하고 있다.   이 교회 한의준 담임 목사(22대)는 “첫 이민단이 도착한 후 을사늑약으로 이민이 금지된 1905년까지 7415명의 한인이 하와이로 왔다”며 “처음 도착했던 이민단은 대부분 오아후 북쪽 와이알루아 지역 사탕수수 농장에 배치됐다”고 말했다.    흔적을 찾기 위해 교회에서 북쪽으로 30여 마일 거리의 와이알루아 지역으로 차를 몰았다. 사탕수수밭은 자취를 감춘 지 오래다. 차창 너머로 파인애플밭과 커피나무 밭이 100여 년 전 풍경을 대신한다.     와이알루아 지역 푸우이키 묘지에 도착했다. 당시 농장에서 일했던 첫 한인 이민자 중 30여 명 정도가 묻혀있는 곳이다.   묘지는 고요하다. 산들바람만이 적막을 깬다. 한인 이름이 적힌 묘비들을 하나씩 살폈다. 그들의 노고에 비해 묘비의 자태는 쓸쓸하다. 풍화작용으로 부서진 비석이 눈에 띈다. 일부는 글귀조차 알아보기 어렵다. 찾는 이가 없어 방치된 지 오래된 게 분명하다.   이덕희 소장은 “당시 한인들은 죽어도 묻힐 땅이 없다 보니 농장주가 자신이 운영하는 농장 한편에 묻기도 했다”며 “당시 한국으로 돌아간 이들을 제외하고 이후 사진 신부 등으로 온 사례를 합하면 결국 4500명 정도가 오늘날 한인 이민사의 시작점이 된 것”이라고 전했다.   홀씨와 같았던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이는 이제 별로 없다. 마지막 기록인 묘비만 외롭게 서 있다.   호놀룰루=장열 기자ㆍ사진 김상진 기자  jang.yeol@koreadaily.com   한인 이민자 하와이이민연구소 이덕희 한인 초기

2023-12-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